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노트북 구입후 설치해야 할 필수 프로그램 소개
    IT 2011. 12. 1. 04:44


    2013년 5월 내용 수정 및 추가


    노트북 구입전이라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한다.

    2011/12/02 - [IT] - 노트북 선택 및 구입 요령

    노트북 점검 프로그램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한다.
    2011/11/27 - [IT] - 노트북 초기 점검 방법 및 프로그램 소개



    <노트북 구입후 설치해야 할 필수 프로그램>

    개인의 취향에 따라 많이 달라지겠지만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설치하는 프로그램들에는 뭐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1. 가젯 : 노트북 화면을 꾸밀때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이 가젯이다. 간단히 컴퓨터를 컨트롤 하거나 상태를 확인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 리소스를 잡아 먹으니 과도한 사용은 비추천한다. 이에 대한 자료는 노트북관련 까페나 블로그를 통해 구할수 있다. 그 외에도 로켓독이나 레인미터등으로 개성있게 바탕화면을 꾸밀수 있다.
    << 간단히 사용하고자 한다면 가젯을 사용하고 자신의 스타일대로 꾸며가고자 하는 마음이 크다면 레인미터를 설치하면 된다. 갯수의 차이가 있겠지만 차지하는 리소스는 큰 차이가 없다. 단지 레인미터는 초보자가 쓰기에 다소 번거로움이 있으니 찬찬히 공부해가며 꾸며가면 된다.>>

    로켓독
     2011/12/19 - [IT] - 로켓독 RocketDock v1.3.5 간단 설치 및 사용방법
    레인미터

    가젯 http://addgadget.com/

    레인미터 http://rainmeter.net/cms/

    2. 압축툴 : 일반적인 사람들은 알집을 선호하겠으나 기업 또는 공공기관에선 라이센스 문제로 사용을 꺼려한다. 이에 누구나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반디집(구 압축시대)이 그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다. 반디집을 설치시 착한소프트 설치창을 통해 설치된다.

    링크 http://apps.bandisoft.com/bandizip/ 


    3. 가상드라이브 : 2013년 현재 국내에서는 제휴(지마켓)를 통해 다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주)이비즈네트웍스 배포.

    링크: http://www.daemon-tools.kr/home/download_00.html

     


    4. 동영상 재생 : 동영상 플레이어를 설치하기전 일단 처음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한번 실행해 주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다음 팟플레이어나 곰플레이어, kmp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신에 취향에 맞춰 사용하면 된다. (최근엔 초코플레이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많이 보인다.) 온라인 상에서 플레이 되는 일부 동영상을 위해 Quicktime이나 RealPlayer를 설치하기도 한다.

    링크: http://tvpot.daum.net/application/PotPlayer.do


    5. 이미지 뷰어 : 일반적으로 개인 사용자의 경우 알씨를 많이 사용한다. 기능이 많은 편이기는 하나 조금 무겁다는 느낌을 받는다. 또한 공공기관이나 기업의 경우 라이센스의 문제 생길수 있다.  포토스케이프나 포토웍스등을 사용하는 이도 있긴 하나 뷰어라기 보단 편집기에 가깝다. 이에 직관적이고 가벼운 꿀뷰가 많은 사용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일부 벤치 자료에 의하면 이미지 로딩에 걸리는 시간은 오히려 다른 프로그램들이 더 가볍다고 한다. 다만 타 프로그램의 경우 자체에 부수적 기능이 많다보니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꿀뷰를 더 선호하고 있다.)
     

    링크: http://www.kippler.com/win/honeyview3/


    6. 문서 뷰어 :
    오피스 파일의 경우
    무료 라이선스를 가진 오픈오피스를 사용하기도 하나 일부 호환성의 부족이 나타나기도 한다. pdf 뷰어중에는 adobe reader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에디터로는 Notepad ++가 많이 쓰인다. (한글2010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0은 논외로 한다.)


    7. 브라우저: 예전에는 획일적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컸으나 최근들어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등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다.
    (2013년, 익스플로러 10이 성능이 우수하다는 평가가 많아 다시 익스플러로러로 회기하는 추세.)


    8. 툴바: 툴바 마우스제스춰 기능때문에 알툴바나 네이버 툴바가 인기 있으나 개인적으로 툴바 사용을 추천하지는 않는다.

    9. 백신: 정품 인증 사용자의 경우 MSE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 무료 백신중 국내 백신은 알약, V3 / 해외 백신은 AVAST, AVG, AVIRA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보안을 위해 두개 세개를 설치한다고 능사가 아니며, 방화벽과 백신, 꾸준한 보안 업데이트만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외에 COMODO라는 강력한 무료 방화벽 프로그램도 있고 울타리와 같은 악성코드와 백도어 검사, 치료 프로그램도 있다. 

    COMODO 다운로드 링크 : http://www.comodo.com/home/internet-security/firewall.php
    울타리 다운로드 링크 : http://data.rodream.org/index.htm?page=safefence

    Malwarebytes 다운로드 링크 : http://www.filehippo.com/download_malwarebytes_anti_malware/


    10. 최적화 프로그램 및 기타 프로그램 : 일부 웹하드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그리드 프로그램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용자는 그리드 프로그램 감시 및 삭제가 가능한 그리드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ccleaner는 불필요한 레지스트리나 임시파일, 쿠키등을 간판하게 삭제해주는 공개 프로그램으로써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외 최적화 툴로 간단한 무료 프로그램은 핑팡이, 유료 프로그램으론 Advanced SystemCare 5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포스팅은 단순 소개일분 해당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링크: http://www.gridswitch.co.kr/
     

    http://www.filehippo.com/download_ccleaner


    11. 블루스크린 오류 확인 :
    요즘들어 블루스크린을 보기는 예전보다 힘드나 그래도 간혹 드라이버 충돌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발생시 그 원인을 개인이 찾기란 쉽지 않다. 이에 일부 사용자들은 Debugging Tools for Windows를 설치해 Crash Dump를 확인하기도 한다. windbg를 설치해도 좋고 Blue Screen View를 설치해도 좋다. 아니면 아래처럼 간단히 고클린을 이용해 확인해 보는 것도 추천하다. (고클린을 직접 사용해보지는 않았음)



    windbg


    12. 마무리: 언급되지 않은 분야나 프로그램의 경우 추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이것은 그저 다양한 사용자들이 컴퓨터에 설치해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이므로 그저 참고 자료로만 사용하라. 프로그램의 선정은 작성자의 개인적 경험에 의한 것이니 공정성이나 객관성에 대한 논란은 무의미하다. 상기에 언급된 프로그램 모두를 설치하기 보다는 자신에게 필요한 프로그램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다.

    간단 보기 : 다운로드 링크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새창으로 해당 다운로드 페이지가 연결됩니다.

     일부 가입을 해야 파일을 다운로드 할수 있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또한 해당 파일을 단순 통합 검색시 피싱 파일을 올려 놓은 블로그등으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파일 다운로드시 이런 번거로움을 피하고자 하신다면 차라리 네이버, 다음 자료실, 심파일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이버 자료실: http://file.naver.com/index.html

    0. 착한소프트

    1. 가젯 / 로켓독 / 레인미터

    2. 반디집 / 알집

    3. 데몬툴 라이트

    4. 다음팟 / 곰플레이어 / KMP / 초코플레이어

    5. 꿀뷰 / 알씨

    6. ACROBAT READER / Notepad++

    7. 크롬 / 파이어폭스 / 사파리 / 오페라

    8. 알툴바 / 네이버툴바

    9. V3 알약 / AVASTAVGAVIRA / 울타리 / COMODO FIREWALL / Malwarebytes

    10.  그리드스위치 / 고클린 / 핑팡Ccleaner / Advanced SystemCare 5 / Debugging Tools for Windows / Blue Screen View /


    댓글

Designed by Tistory.